Welfare

6월에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중복 가능 여부 총정리!

NO.1 쭌슈리 2023. 2. 1. 18:55
반응형

 

안녕하세요. 쭌슈리입니다:) 최근 기온이 많이 높아지면서 이제는 패딩을 입으면 괜히 더운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. 이제 2월에 들어서고 한 달 뒤면 3월이라는 게 실감 나지 않지만 봄이 다가온다니 왠지 모르게 계속 설레는 기분이 듭니다. 오늘은 윤석열 대통령의 선거 공략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하는데 놓치는 부분 없이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!

 

청년도약계좌란?

이미지 출처: AdobeStock_332490673

 

청년도약계좌는 근로 및 사업 소득이 있는 청년(만 19세 ~ 만 34세)을 대상으로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통장입니다.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아직까지 확실하게 정해진 부분이 많지 않아 정보에 혼란을 겪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 정확한 것은 매달 70만 원 한도 내에서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소득액에 따라 월 최대 40만 원씩을 지원해 주어 10년 만기로 1억 원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

 

  • 10년 만기 1억 원 자산 형성이 목표
  • 개인 소득액에 따라 지원 금액 차등 있고 최대 40만 원 지원
  • 매달 70만 원 저축 가능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

 

이미지 출처: 금융위원회

 

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출시 예정이며 납입기간은 5년 및 10년으로 예상됩니다. 10년 만기 1억 원 모으기가 목표이기에 만기 기간에 따라 약 5천만 원에서 1억 원을 수령하실 수 있고 정부 지원금은 가입자 청년 본인의 소득에 따라 3%~6% 사이가 적용됩니다. 추가로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이자 소득세는 없으나 은행이자는 받으실 수 있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를 중도에 해지하실 경우 비과세 혜택은 받으실 수 없기에 신중하게 살펴보셔야 합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내용 정리

  • 6월 출시 예정
  • 청년(만 19세 ~ 만 34세)에게 해당
  • 개인소득 연 6,000만 원 이하
  •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  • 월 납입액: 최소 40만 원 ~ 최대 70만 원
  • 정부 지원금: 청년 본인의 소득구간에 따라 3% ~ 6%로 차등 지급+@(은행 이자)
  • 이자소득세 비과세

 

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%

 

가구원수 중위소득 100% 중위소득 180%
1인가구 2,077,892원 3,740,206원
2인가구 3,456,155원 6,221,079원
3인가구 4,434,816원 7,982,669
4인가구 5,400,964원 9,721,735
5인가구 6,330,688원 11,395,238
6인가구 7,227,981원
13,010,366원

 

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%를 180%로 전환하여 첨부하였습니다. 가입 전에 소득을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 개인의 소득액에 따라 정부 지원이 차등적으로 이루어지기는 하나,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가입이 어렵기 때문에 참고하여 준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반응형